민이가 목감기에 걸려 병원에 다녀왔는데요. 집으로 돌아올때는 언제나처럼 택시를 이용했답니다. 그런데 택시기사님이 한숨을 쉬시며 택시요금이 인상된다는 말씀을 하셨어요. "택시요금이 오르면 좋은거 아니세요?" 라고 여쭙자 택시요금이 오를때마다 손님이 줄어든다고 하시며 택시도 이제 못 해 먹겠다는 말씀을 하시더라구요.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택시지만 물가가 치솟고 있는 요즘 같은 때에는 택시요금 역시 부담스럽게 느껴지는건 어쩔 수 없네요. 서울은 2월달에 이미 택시요금이 인상된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부산 택시요금 인상 내용과 서울 및 전국 택시요금은 얼마인지 등등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부산 택시요금 인상
▶ 택시요금 인상 시기 : 2023년 6월 1일 부터입니다.
▶ 인상된 택시요금(기본요금/거리요금/시간요금)
- 중형택시 : 기본요금 3,800원에서 4,800으로 1,000원 인상된다고 합니다. 기본거리는 2km로 기존 그대로 유지되나 이후 거리 요금은 100원당 133m에서 132m로, 시간 요금은 100원당 34초에서 33초로 조정되었다고 합니다. 1회 평균 탑승거리인 5.4km를 기준으로 했을 때 15.6% 인상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 모범택시 : 기본요금 6,000원에서 7,500원으로 1,500원이 인상된다고 합니다. 기본거리는 3km이며, 이후 거리 요금은 200원당 141m에서 140m로, 시간 요금은 200원당 34초에서 33초로 조정되어 1회 평균 탑승거리 26.65km를 기준으로 했을 때 4.3% 인상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할증 시간 및 할증 요금
▶ 할증 시간 : 심야할증 시간은 현행 24시~04시에서 1시간 앞당겨져 23시~04시로 조정되었습니다.
▶ 할증 요금 : 현행 20% 단일 할증에서 구간별로 할증률이 다르게 적용된다고 합니다. 24시~02시의 경우 30%의 할증률이 적용되며, 나머지 구간대에는 20% 할증률이 적용된다고 합니다. 그 외 시계외할증은 20%로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 시계외할증 : 택시가 시 경계를 넘어갈 때 추가요금을 받는 제도입니다.
- 서울의 경우 심야 통행금지가 없어지면서 1982년 도입된 시계외 할증제도는 서울 택시가 경기도로 갈 때 요금의 20%를 더 받는 제도였다. 이후 서울시가 2009년 6월 택시 기본요금을 1900원에서 2400원으로 올리면서 이 제도가 폐지됐다. 당시 서울시는 택시 기본요금을 2400원으로 26% 올리는 대신 서울시 밖으로 나가는 택시에 대한 할증 요금을 없앴다. 그러나 이 제도가 폐지된 이후 일부 택시기사들이 서울 외곽 경기도행 승객의 승차를 거부하거나, 웃돈을 요구하는 부작용이 많아지는 등 문제가 발생하였다. 결국, 2013년 10월 기본요금을 3000원으로 인상하면서 시계외 요금제와 심야할증제를 다시 도입하였다. 심야할증제란 밤 12시(0시)부터 새벽 4시 안에 택시를 이용할 경우 추가요금(20%)을 받는 제도를 말한다.
한편 서울 택시에 이어 경기도 택시 역시 2013년 10월 19일부터 일반중형택시의 시계외 요금제와 심야할증제를 도입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시계외 할증요금제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서울 및 전국 택시요금 인상
▶ 서울 택시요금 : 서울은 올해 2월에 이미 택시요금이 인상되었으며 할증시간 역시 변경되었습니다. 중형택시 기준으로 기본요금은 3,800원에서 4,800원으로 조정되었으며 기본거리도 2km에서 1.6km로 줄어들었습니다. 거리당 요금은 100원당 132m에서 131m로, 시간당 요금은 100원당 31초에서 30초로 조정되었습니다. 심야할증 시간도 24시~04에서 22시~04시로 변경되었으며, 23시~02시의 경우 40%의 할증률이 적용되며, 나머지 구간대에는 20% 할증률이 적용된다고 합니다. 그 외 시계외할증은 20%로 동일하게 적용되며, 중복 할증 적용된다고 합니다.
▶ 전국 택시요금 : 경기도의 경우 서울과 택시요금은 동일하다고 합니다. 대구와 울산시의 택시요금은 23년 1월부터 3,300원에서 4,000원으로 변경되었으며, 대전시와 광주시는 현재 3,300원입니다.
물가가 어마어마하게 오른 현재 시점에서 택시요금이 오르는 것이 당연할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택시요금이 오른다면 저 역시 택시를 이용하는게 부담스러울 것 같아요. 과연 택시요금 인상은 누구를 위한 인상인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전 면허나 따러 가야겠네요!
'정보] 꿀TIP♥ > 뉴스 경제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펌] 서초구 서이초 교사 자살 사건 (0) | 2023.07.20 |
---|---|
삼겹살, 자장면이 서민음식 맞나요? 물가상승률에 못 따라가는 2023년 최저임금 (0) | 2023.07.20 |
태풍이란? 2023년 3호 태풍 '구촐' 발생 (0) | 2023.06.07 |
누구도 책임지지 않는 전동킥보드 배터리 폭발 사고 (0) | 2023.05.17 |
2023년 2배로 돌려주는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 조건 방법 주의사항 (0) | 2023.04.29 |
댓글